1992년 8월 11일 오전 8시 8분.한국 과학 기술원(KAIST)인공 위성 연구 센터는 남미의 기아나·쿠루 우주 기지에서 프랑스령 가이아나 우주국의 지원을 받아 소형 과학 실험용 위성”우리별 1호”의 발사에 성공했어요.그리고 3개월 뒤인 11월 21일 오후 3시 10분경, 지상과의 첫 교신에 성공했습니다.이는 한국 최초의 국적 위성으로 세계 22번째 자력 위성 보유국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당시는 우주 개발 분야의 선진국은 군사 목적과 상업적인 이유로 대형 로켓 개발에 집중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규모 실험용 위성 제작 기술력 확보가 쉽지 않았습니다.하지만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힘을 모아 연구 개발에 매진한 결과 드디어 결실을 맺은 거죠.또 이를 계기로 향후 독자적인 우주 산업 발전 기반 마련 및 국가 지위 향상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그럼 지금부터 25년 전 발사한 해당 물체 속에는 어떤 기능이 탑재되고 있던 걸까요?우선 무게 48.6kg, 크기 352×356×670mm로 태양 전지판 2곳 설치되어 임무 수명은 5년 정도였습니다.그것에 카메라의 해상도는 6.6m급으로 자세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장비도 장착되어 있었습니다.한국 최초의 인공 위성”우리별 1호”
한편, 현재 운용되고 있는 후속 모델로서는, 1999년 5월 26일에 발사된 2호기와 2003년 9월 27일에 발사된 3호기의 2 종류가 있습니다.각각 지구 표면 촬영 영상의 전송뿐만 아니라 음성 통신까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